탄소권배출 사업을 목표로 작게는
가정의 보일러부터 소각로, 용해로 등에서 발생하는
폐열 및 방산열 에너지를 회수 및 저장하여
전기·온수를 재생산하는 하베스트
LG하우시스, 일본 코레노, 독일 어베리사 등 IT산업용 필름 및 박막소재를 가공 처리하는 업체에 Roll to Roll 장비 및 제어 시스템, 필수설비인 열반응 챔버(chamber)의 설계 엔지니어링을 수행 한 바 있습니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 등 버려지는 중·저온의 열 에너지(폐열)를 회수하여
이를 열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스템
저온 폐열로 부터 흡열판
(또는 히트파이프)를 통해
에너지 회수
회수한 열에너지를
열전발전모듈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
전기로 변화된 에너지를
저장 또는 공장에서
재사용
선재 공정 등 Process Line에서
발생하는 방산열 회수 발전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중·저온의
배기가스 열을 회수 발전
기름과 엔진이 없는
폐열을 이용한 신재생 발전시스템
주간야간 연속발전
(24시간 폐열 발생 기준)
1kW발전시 설치면적 1.3㎡
(배기가스 덕트부 설치기준 단면적)
구조 | ![]() |
![]() |
---|---|---|
발전방식 | 유기랭킨사이클(ORC). 고압증기 용 보일러의 터빈 동력에 의한 전기생산. |
열전발전 모듈. 폐열과 같은 열원으로부터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열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 |
설비용량 (kw/h) |
20,000 | 0.1~100 |
장점 | - 중저온 폐열회수 전력생산. - 연속적인 광범위 가변속 운전이 가능. - 운전효율이 높음. - 유지보수 비용이 낮음. - 안전하고 긴 수명. |
- 열원에서 선택범위가 넓고 경쟁력 있는 발전방식. - 설치면적이 타 발전기에 비해 현저히 적음. - 유지관리비용이 경제적. - 반도체 방식의 고체 발전기술로 친환경성이 우수. - 진동,소음,마모등이 없음. |
단점 | - 초기 투자비용이 큼. - 설치 공간 확보 어려움. - 설비확장 및 폐기시 환경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큼. - 보조전력사용이 필요함. |
- DC-AC 전력 변환 기술 단가가 높음. - 상용화 발전시스템이 없음. - 시스템 내구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 |
폐열 발전기
탄소권배출 사업을 목표로 작게는
가정의 보일러부터 소각로, 용해로 등에서 발생하는
폐열 및 방산열 에너지를 회수 및 저장하여
전기·온수를 재생산하는 하베스트
열전 소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두 개의 반도체를 연결해 만듭니다.
각각의 반도체는 N(Nagative)형 열전 반도체와 P(Positive)형 열전 반도체라고 부릅니다.
N형 열전 반도체 다음에 P형 열전 반도체를 나란히 배치하면 열전 소자가 간단하게 만들어지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소자에 전기를 가해주면 N형과 P형 열전 반도체가 서로 연결된 지점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게 됩니다.
열전 소자는 주위의 온도를 -30℃~180℃로 바꿀 수 있는데 열전 소자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0℃ 이하로 만드는 상태를 ‘열전 냉각’, 열전 소자에 열이 가해지면서 전기가 생성되는 것을 ‘열전 발전’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 특히 열전 발전에 주목해야 하는데, 우리 주변에서 버려지는 수 많은 폐열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인체열, 지열, 해양열과 같이 이용 가능하지만 재생산 되지 않는 열과, 산업 배폐열, 차량열, 해양 플랜트열, 원자력열 등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활용 열 등의 폐열을 활용한다면 지금보다 훨씬 높은 에너지 효율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여 우리 생활을 풍요롭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항목 | 규격 | 비고 |
---|---|---|
발전용량 (Wh) | 130 | 상시발전 100w |
발전시간 (h/can220g) | 3 | 최소 연소시 5시간 |
발전방식 (type) | 열전발전 | 열전반도체 발전 |
출력방식 | USB Port | I-phone_ 4port 동시충전 Android_ 2port 동시충전 |
크기K(g) | 가로150mm 세로150mm 높이270mm | I-phone 6개 이상 동시충전의 경우 가로세로높이 모두 300mm 이상 |
항목 | 규격 | 비고 |
---|---|---|
재질 | SUS | 모서리 벤딩 마감 |
손잡이 | 1 | 상부에 핸들 |
집열판 | AL | Heat Sink |
무게kg | 6 | 이하 |
Cap류 | 냉각수 보충용 | 1개 |
항목 | 규격 | 비고 |
---|---|---|
가스과열경보 | 소리 및 램프 | 경보 및 붉은LED점멸 |
정격출력(사용시작알림) | 램프 | 초록 LED점등 |
냉각수보충 | 소리 및 램프 | 경보 및 붉은 LED점멸 |
발전상태 | 램프 | LED Bar |
항목 | 인버터발전기(일본) | 열전변환발전기(성하에너지) |
---|---|---|
연료소모량(ea) | 2개(부탄가스250g/ea) | 1개(부탄가스220g/ea) |
발전량(w) | 850 | 150(일반모드) |
운전시간 | 1 | 4 |
총출력(w) | 850(부탄가스1ea 기준:425) | 450 |
크기(mm) | 400W × 390H × 330D | 150W × 270H × 150D |
무게(kg) | 21 | 8.5 |
기타 | -겨울철 발전량 떨어짐 -핸드폰 충전 최대 1시간 가능 |
-겨울철 운전시간 연장(6시간) -핸드폰 12대 동시충전 가능(아이폰6 급속충전기준) |
열전발전패널외형 - 500 × 500 × 500 mm
항목 | 내용 |
---|---|
외형크기(삼각케이스) | 500 × 500 × 500 mm × 3세트 |
발전량(TLC온도℃/발전량wh) | 100℃/40.5wh, 128℃/67.5wh, 152℃/108wh, 190℃/162wh |
출력 | 12 DCV |
배터리 용량 | 30Ah |
냉각방식 | 냉각수 밀폐형 (-30℃~120℃) |
순환펌프 | 240ℓ/h 양정4m 3개 |
노즐외경 | 12mm |
컨트롤판넬 | 온도 이상검출, 냉각수 부족 경고, 센서이상, 단선 누전과전류 (1세트) |
전원 | 외부 전력 불필요 |
단자 | 용선 탱크의 회전시에도 발전과 전력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 |
보증(관리) 및 수명 | 품질 보증 1년(분기별 정기 점검), 사용 수명 10년 기준 |